사진281 사냥에 성공한 거미 음.... 이 거미는 아주 거대한 거미입니다. 좌우다리 모두 포함한 길이가 무려 1.5센치... -_- 이녀석이 제가 카메라를 들이대니 두 팔을 들어 덤비려고 하더군요. 아무래도 제 장비로는 이정도 찍으려면 카메라를 피사체에 2센치까지 다가가야 하기 때문에 피사체를 긴장하게 만드는것 같습니다. 솔직하게 저 파리는 카메라 들이대기 전까진 파리인지도 모르겠더군요. 저 녀석의 습성은 잘 모르겠지만.... 제가 최근에 공부한 바에 따르면 저런 류의 거미를 게거미라고 부른답니다. 그러고 보면 게처럼 생겼죠? 그런데 게 거미가 국내에만 수백종이 넘는다고 하더군요... (거의 천여종에 가깝다는 이야기도... -_-;;;) 그래서 정확하게 어떤 종인지는 모릅니다. 후후... 참 미시세계는 신기한것 같습니다. 이사진은 .. 2006. 6. 26. 모기가 먹이를 먹는 모습 종종 모기가 피를 빨아 먹으며 연명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신데, 사실 모기는 평소에는 과즙 같은것을 먹고삽니다. 모기가 피가 필요할때는 산란때 밖에 없는데, 알을 낳기 위해서는 단백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을 무는 모기는 임신할 암컷 밖에 없는것이죠. 여튼.. 평소에는 이렇게 평화로운 모습이라니... 믿기시나요? 크롭 리사이즈 입니다. 노출이 부족해서 색보정했습니다. 사용 기종 : Nikon D70s 사용 렌즈 : 60 mm 매크로 2006. 6. 17. 샤프심 5mm 샤프심입니다. 온리 리사이즈, 리터치 안했습니다. 2006. 6. 17. 풍뎅이 사실 저는 이 풍뎅이가 어떤 종인지 모릅니다. -_-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뭐랄까요... 사실 풍뎅이인지도 잘 모르죠. 그런데 신기한건 저 더듬이... 더듬이가 사슴 뿔처럼 여러갈래인것입니다. 아무래도 저걸 특징잡아서 이름을 찾을수 있을것 같은데.... 하지만 무엇보다... 조만간에 곤충도감을 하나 구입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3. 사진 13 이게 앞에 올린 사진( http://blog.empas.com/speedit/14286475 )의 100% 크롭입니다. 실사이즈를 아시는데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걸 통째로 여기 올리면 올라가지도 않을뿐 더러... 너무 커서 보기도 힘들죠...) 즉 웹에 올리면 이 사이즈가 된다는 것이죠. 2006. 6. 12. 집을 고치고 있는 거미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2. 거미 꽤나 작은 크기의 거미입니다. 집을 짓고있다가 제가 카메라르 들이대니 도망가더군요... 순식간에... 그러더니 구석에서 집을 고치더라구요....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2. 사진 9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2. 사진 7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2. 사진 6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2. 사진 5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2. 사진 4 이사진은 70s사용 리사이즈입니다. 크롭은 안했구요. 개인적으로 크롭을 안합니다. 그 이유는 인쇄에서는 300dpi의 해상도가 기본이기 때문에, 웹에서 왠만큼 커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올리는 사진들은 300dpi를 기본으로 봤을때 A4에 풀페이지로 사용가능한 크기입니다. 2006. 6. 1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