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 수 : 2–4인
플레이 시간 : 약 15–20분
룰 난이도 : ★★☆☆☆ (쉬움 ~ 보통)
주 메커니즘 : 비밀 코드, 순서 추리, 추격형 논리 대결
CODA는 다빈치 코드 보드게임과 무슨 관계인가?
‘Coda’는 본질적으로 다빈치 코드 보드게임과 완전히 다른 게임이며, 테마나 이야기적 연결은 전혀 없고, 암호 추리 중심의 논리 게임입니다. 일본에서 인기를 얻은 뒤 국제적으로도 “Da Vinci Code”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추측 기반의 경합형 코드 추리게임입니다.
게임 개요 및 특징
- 비밀 코드 구성
각 플레이어는 0부터 11까지의 숫자가 쓰인 흰색과 검정색 타일을 무작위로 배분받아, 비밀리에 오름차순으로 줄 세워 자신만 볼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 추리 턴 진행 방식
- 한정된 중앙 타일 더미에서 새로운 타일을 뽑습니다.
- 다른 플레이어의 코드에서 특정 타일의 숫자를 추측합니다.
- 맞히면 해당 타일이 공개되어 패널티 없이 다음 추리를 이어갈 수 있고, 틀리면 자신의 코드에서 타일 하나가 공개됩니다. 상황에 따라 추가 추리나 턴 종료를 선택할 수 있어 전략적 결정 요소가 존재합니다.
- 승리 조건
자신의 모든 타일이 공개되지 않고 끝까지 남아 있는 플레이어가 승리합니다. - 구성물 및 간결함
실물 구성은 간단하게 보드 없이 숫자 타일만으로 이루어지지만, 추리와 심리전의 재미는 튼실합니다.
장점 및 단점
장점
- 빠르고 간단한 규칙 덕분에 입문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논리 추리의 재미와 몰입: 정보가 점차 드러나는 과정에서 심리적 긴장감이 살아납니다.
- 짧은 가벼운 경기: 한 판 15–20분 정도로 빠르게 즐기기 좋습니다.
- 다인 추리전 가능: 한 번에 여러 명과 즐기기 적합합니다.
단점
- 반복 플레이 한계: 같은 구조 반복 시 흥미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테마 연계 부족: 이야기 요소가 없어서 다빈치 코드 팬에게는 친밀감이 반감될 수 있습니다.
- 추리력 중심 편향: 운이나 랜덤 요소보다는 순전히 심리와 논리에 따라 흘러가기 때문에, 추리를 선호하지 않는 게이머에게는 부담일 수 있습니다.
어울리는 상황
- 논리 추리 게임을 좋아하는 그룹
- 가볍고 빠르게 즐기는 파티나 휴식 타임용 보드게임
- 가족 또는 친구와의 즉흥 대결
- 전략보다는 머리싸움 중심의 간단한 대결을 원하는 상황
- 본 글은 보드게임의 룰을 알려주기보다는, 플레이 시 재미의 포인트, 플레이할 때 초보자를 위해 고려해야 할 점 등. 보드게임 룰 외의 주관적인 평들을 간략하게 다뤄, 게임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단, 개인적으로 보드게임은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요소를 찾아가는 길이라고 생각하는 입장, 그리고 미완성된 게임이 아닌 이상 재미없는 게임은 없다는 생각으로 글을 작성한다는 점은 참고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취미_생활 > 보드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드게임] 포비든 데저트 – 모래폭풍 속에서 살아남는 협동의 모험 (0) | 2025.09.29 |
---|---|
[보드게임] 포비든 아일랜드 – 협력의 스릴로 가라앉는 섬을 지켜라 (2) | 2025.09.21 |
[보드게임] 드래프토사우르스 – 다이노 파크를 구성하며 즐기는 똑똑한 퍼즐 (1) | 2025.09.17 |
댓글